본문 바로가기
경제꿀팁/복지&정책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 금액

by ★◈◐★ 2021. 7. 12.

"중위소득 180% 이하" 현재 많은 관심과 비난의 기준선이 되고 있는데요. 한 사람당 25만 원씩 지급하기로 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 해당 기준을 커트라인으로 지급이 유력해지고 있습니다.

대표썸네일사진

원래 기준 중위소득은 여러 가지 복지 제도의 혜택을 받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수치를 정할 때도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이러한 기준은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지정을 하기 때문에 수치가 달리 산출되게 됩니다. 그럼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소득기준으로 가장 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고 하는데요. 보통 중위소득 50%~150%사이를 중산층이라고 보며, 50% 미만을 빈곤층, 150% 이상을 상류층이라고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구간표
중위소득 및 소득하위 구간

참고로, 소득하위 80% 기준금액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소득 하위 80% 기준금액 확인

5차 재난지원금 대상 기준을 전 국민과 선별지급하는 것에 대한 최종 통과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득 하위 80% 기준 금액에서 지급하는 것으로 거의 확정이 되어 가고 있는데요. 지원금액도 가

jacobnews.tistory.com


2.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금액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가구 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 규모, 소득 수준 등을 반영하여 고시를 하고 있는데요.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중위소득 180%
소득 기준
3,290,000 5,559,000 7,171,000 8,777,000 10,363,000

참고로, 세전소득 기준이며 세전소득이 이보다 높다면 해당이 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소득에는 근로소득뿐만 아니라 이자,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을 합산한 것을 말합니다.

소득인정액추가내용

하지만 여기서 소득이 일정하지 않고 확실히 모르겠다 하시면 건보료 요금을 확인해 보시면 되는데요. 아래 건보료 본인부담금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가구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가구 126,651 119,942 127,923
2인 가구 213,107 224,133 216,585
3인 가구 275,445 302,639 281,359
4인 가구 343,813 381,304 358,837
5인 가구 423,946 468,665 461,977

2인 가구이고 맞벌이 부부라면 2인 가구 직장가입자를 기준으로 보시면 되고, 가구원 수가 4인가구이며 한 명은 직장인, 다른 한 명은 프리랜서인 경우에는 4인 가구 혼합을 참고해서 보시면 됩니다.


3. 중위소득 180% 이하 건보료 조회

본인이 건보료를 얼마나 납부하고 있는지 조회해보겠습니다.

- 먼저 조회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이벤트 1 / 8

www.nhis.or.kr

- 메뉴 항목에서 조회/납부 항목을 클릭합니다.

조회-납부-클릭화면

- 조회를 위해서는 로그인을 해주셔야 합니다. 공동/금융인증서를 이용하셔서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화면

- 로그인 하신 후, 아래와 같이 조회를 하시면 정확하게 알 수가 있습니다.

조회결과

4. 맺음말

기준 중위소득 같은 경우 각종 지원정책의 기준으로도 사용이 되는 만큼 이번 계기를 통해 본인이 어느 구간에 속해 있는지 잘 파악해 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럼 오늘도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며, 이만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도움이 되는 글

(차상위계층 확인 방법 및 기준, 신청방법)

 

차상위계층 확인 방법(+기준,신청)

오늘은 차상위계층 확인 방법 및 기준, 신청 등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경기가 안 좋다 보니 소득이 적으신 저소득층에 대한 혜택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갈수록 저

jacobnews.tistory.com

(본인도 모르고 있는 미환급금 조회)

 

미환급금 찾기 정부24 홈페이지 신청

매년 지방세 등 세금을 과오납하거나 착오 납부로 인해 찾아가지 않은 환급금이 갈수록 쌓이고 있는데요. 그래서 정부24 홈페이지를 이용해 미환급금 찾기 신청을 하셔서 미환급금을 찾아가시

jacobnew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