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아파트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 TOP3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올해 아파트 공시지가가 작년보다 평균 19%나 인상이 되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최근 서울 부동산 값이 17%나 올랐다고 하지만 실제 공시지가는 86%나 올라 많은 논란이 되었는데요.
공시지가 같은 경우 단순히 듣고 믿기 보다는 본인이 직접 공시지가를 조회해보셔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법 또한 간단하기 때문에 제가 소개해드리는 사이트 참고하셔서 조회를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1. 아파트 공시지가란?
공시지가란 국토교통부 장관이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에 대하여 매년 공시기준일 현재의 적정 가격을 조사/산정하여 공시한 주택 가격을 말합니다. 즉, 국가에서 이 주택은 이 정도 금액이야라고 공시를 해 주는 거라고 이해를 하시면 쉽겠네요.
이러한 공시가격은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등 국세 및 지방세의 부과기준이 되기도 하고, 지역 건보료의 부과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연금 대상자, 재산공개, 과태료 부과 등의 판단기준으로도 활용이 됩니다. 그럼 이제 아파트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이라고 대표적인 아파트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입니다.
한국부동산원
알림판
www.reb.or.kr
일단 공동주택, 표준 단독주택, 개별 단독주택, 표준지, 개별 공시지가 등을 자세하게 확인을 할 수 있어서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입니다. 일반적인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의 공시 가격을 알고 싶으시면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클릭하셔서 조회를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PC뿐만 아니라 핸드폰 어플로도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핸드폰이 편하신 분들은 해당 앱스토어에서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3.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
다음으로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사이트인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인데요. 해당 사이트는 실거래가 조회뿐만 아니라 공시지가 조회를 지도에서 바로 선택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보기에도 편하고 직관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브부동산 by KB국민은행
www.kbland.kr
조회 방법은 원하시는 지역을 검색하시거나 지도에서 지역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알고 싶은 단지를 클릭하시고 메뉴 항목에서 '공시가격 보기'를 클릭하시면 바로 확인을 할 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단순 공시가격뿐만 아니라 실거래가 및 주변시설, 세금 계산기까지 제공을 하고 있으니 여러 방면으로 활용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4. 호갱노노
다음으로 호갱노노라는 사이트인데 이 역시 PC뿐만 아니라 핸드폰 어플에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호갱노노 - 아파트 실거래가 1등 앱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와 시세를 지도에서 한눈에!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 인기 아파트 등 아파트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hogangnono.com
조회 방법은 검색창에 원하시는 주택을 입력하셔서 조회를 하셔도 되고, 지도에서 선택 후 검색을 하셔도 됩니다. 일단 기본적인 기능이란 레이아웃은 KB부동산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실거래가 조회도 가능하며, 아래쪽으로 메뉴를 내리면 공시 가격 조회뿐만 아니라 보유세 및 각종 세금도 간단하게 확인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5. 맺음말
종합부동산세 같은 경우 공시가격이 오르면 아무래도 세금을 더 납부해야하는 부담이 생기게 되기 때문에 오늘 알려드린 공시가격 조회를 이용해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도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며, 이만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도움이 되는 글
(온비드 공매 입찰 방법)
온비드 공매 입찰 방법
온비드는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공매시스템인데요. 오늘은 해당 사이트를 이용해 공매 입찰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온비드에서 공매를 진행하실 경우 직접 물건이
jacobnews.tistory.com
(전월세 신고제 대상, 신고 방법)
전월세 신고제 대상, 신고 방법
오늘은 전월세 신고제 대상 확인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2021년 6월 1일부터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되었죠. 하지만 시행은 되었지만 저희 같은 일반인은 머가 먼지 정말 혼란스러운
jacobnews.tistory.com
(전세 계약 갱신 청구권 행사방법,거부사유)
전세 계약 갱신 청구권 행사방법,거부사유
오늘은 전세 계약 갱신 청구권 행사방법과 거부 사유 등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보통 전세 계약이 만료될 때쯤 임대인이 전세 보증금을 올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임차인 입장에서는 이
jacobnews.tistory.com
'경제꿀팁 >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차 재난지원금 대상 커트라인 (0) | 2021.08.02 |
---|---|
소득 하위 88% 기준금액 (0) | 2021.07.23 |
청년 희망키움통장 자격 및 신청 (0) | 2021.07.20 |
비대면 바우처 플랫폼 신청 방법(준비 서류) (0) | 2021.07.15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전환 서류(+혜택) (0) | 2021.07.14 |
댓글